CPE환자 증상과 치료 방법은? > 선한빛 Info

본문 바로가기
 
선한빛 Info

CPE환자 증상과 치료 방법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선한빛요양병원 댓글 0건 조회 39회 작성일 24-04-15 21:38

본문

 


04b53a5cc96ba691c6e7ef87af0963cd_1713184556_2092.jpg 


최근 국내 의료기관에서 카바페넴분해효소생성장내세균(CPE) 감염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이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CPE는 카바페넴 계열의 최후 방어선 항생제에도 내성을 보이는 다제내성균으로, 일단 감염되면 치료가 극히 어렵고 환자 사망 위험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요양병원과 장기요양시설 등 의료적 집단시설에서 CPE 유행이 자주 발생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됩니다. 


면역력이 약한 노인 입원 환자들 사이에 CPE가 번지면서 큰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이에 정부와 의료계는 CPE 확산 방지를 위한 종합 대책 마련에 힘쓰고 있습니다.


CPE환자의 증가는 국가 차원의 중대한 공중보건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효과적인 예방과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의료비 지출 증가, 치료 곤란 사례 급증, 다수의 사망자 발생 등 심각한 보건 의료 위기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에 CPE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선제적 대응을 강화할 필요가 있습니다.



https://tv.naver.com/v/38151504







04b53a5cc96ba691c6e7ef87af0963cd_1713184556_2793.jpg 


CRE / CPE 감염병


CRE는 카바페넴 계열 항생제에 내성을 갖는 모든 장내세균을 포괄하는 총칭입니다.


이는 다양한 종류의 세균을 포함하며, 그 중 일부는 카바페넴 분해 효소를 생성하여 카바페넴 계열 항생제를 무력화합니다. 이러한 카바페넴 분해 효소를 생성하는 CRE를 CPE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CPE는 CRE의 하위 집단이라고 볼 수 있으며, CRE의 변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CPE는 CRE보다 더 위험합니다. CRE는 다양한 메커니즘을 통해 카바페넴 내성을 나타내지만, CPE는 카바페넴 분해 효소를 생성하여 항생제를 직접 무력화하기 때문에 치료가 훨씬 더 어렵습니다. 


이는 항생제 치료를 사실상 불가능하게 만들고, 환자의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위험 요소입니다.


CPE 감염은 기존 CRE 감염에 비해 높은 사망률을 초래합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 만성 질환자는 CPE 감염에 더욱 취약하며, 사망 위험이 크게 증가합니다.


CPE는 강력한 내성과 빠른 확산 속도를 통해 의료 시스템을 위협하고, 감염 관리를 더욱 어렵게 만듭니다.







04b53a5cc96ba691c6e7ef87af0963cd_1713184556_3521.jpg 


CPE 증상


CPE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주요 증상은 발열, 오한, 혈뇨, 호흡기 증상 등 다양합니다. 


증상은 감염 부위와 기저 질환에 따라 달라집니다. 요로감염인 경우에는 혈뇨, 배뇨통 등의 증상이, 폐렴인 경우에는 발열, 기침, 객담 등의 호흡기 증상이 주로 나타납니다.


CPE는 주로 의료진의 손을 통해 접촉 전파됩니다. 또한 오염된 의료 기구, 환경에 의해서도 전파가 가능합니다. 


특히 인공호흡기 사용, 유치도뇨관 삽입, 장기간 입원, 면역저하 환자 등에서 CPE 감염 위험이 높습니다. 이들 고위험 환자군에 대해서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04b53a5cc96ba691c6e7ef87af0963cd_1713184556_4233.jpg 


CPE 치료 방법


예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표준 주의 지침을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손 위생과 개인보호구 착용, 환경 소독과 오염 관리, 주사기 및 기구 재사용 금지 등의 수칙을 지켜야 합니다.


또한 불필요한 광범위 항생제 사용을 최소화하고, 항생제 허가 없는 사용을 금지하는 항생제 스튜어드십 활동도 필수적입니다.







04b53a5cc96ba691c6e7ef87af0963cd_1713184556_5009.jpg 


격리치료가 필요한 감염병


CPE환자에 대한 치료 방안은 현재 매우 제한적입니다. 우선 병원 내 격리 조치와 접촉 주의 지침 등 감염관리를 강화해야 합니다. 일부 경험적 병용 항생제 요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효과는 미지수입니다.


증상이 중증인 경우에는 중환자실 입원과 집중치료를 요합니다. 감염 부위 배농 등의 외과적 처치도 필요할 수 있습니다.







04b53a5cc96ba691c6e7ef87af0963cd_1713184556_5745.jpg 


CPE 감염 대응을 위해서는 의료기관 차원을 넘어 국가 차원의 종합 대책이 시급합니다. 또한 CPE환자 대처는 요양병원의 중요한 책임이며, 환자 안전, 의료 시스템 강화, 공중 보건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요양병원은 철저한 감염 관리, 적절한 치료, 환자 및 보호자 교육을 통해 CPE 감염 확산을 막고 환자의 건강 증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04b53a5cc96ba691c6e7ef87af0963cd_1713184556_6441.jpg





04b53a5cc96ba691c6e7ef87af0963cd_1713184556_7957.jpg

04b53a5cc96ba691c6e7ef87af0963cd_1713184556_8877.jpg

04b53a5cc96ba691c6e7ef87af0963cd_1713184556_9508.jpg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955건 1 페이지
게시물 검색


닫기

--

--

--

--